뉴스 주소(url) | https://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9/11/2023091180149.html | ||
---|---|---|---|
출처 |
'공유 경제의 상징' 위워크, 상장폐지 위기
공유경제 몰락 분석에 국내 관련 스타트업도 도마위
수익성 양호하지만…VC업계 불황·규제 등 위기 요인도
-
- 이미지 크게보기
- (그래픽=윤수민 기자)
'공유경제'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용시킨 위워크가 파산위기에 몰렸다. 코로나19 사태 후 재택 문화가 정착되면서 임차 수요가 감소한 탓이지만, 소비자들이 ‘공유’보단 ‘소유’에 가치를 두기 시작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단 평가도 나온다. ‘공유’에 방점을 두고 투자처를 물색했던 국내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느껴지기 시작했다.
위워크는 지난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회원수가 감소하고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회사가 사업을 계속할 수 있을지 상당한 의심이 있다"라고 밝혔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부채 재구조화, 사업 축소, 미국 파산법에 따른 조치 등 모든 대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10년 설립된 위워크는 벤처캐피탈(VC) 업계 큰손으로부터 투자유치를 받는 등 기대감을 한 몸에 받던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기업이었다. 최대 62조원까지 몸값이 거론되던 위워크는 최근 2000억원대로 시가총액이 주저앉았다.
주가 부진에 상장폐지 가능성도 불거졌다. 30거래일 연속 주가가 1달러를 밑돌면서 상장 폐지 요건을 충족하면서 뉴욕증권거래소(NYSE)는 위워크 상장 폐지 절차에 돌입했다. 위워크는 향후 6개월 이내 1달러 이상으로 주가를 회복해야하는데 이달 1일 주식 40주를 1주로 액면병합하는 전략을 썼다.
위워크의 몰락 배경으로는 코로나19가 꼽힌다. 코로나19 사태를 지나며 미국 내 재택근무 문화가 자리잡으면서 오피스 임대 수요가 꺾인 것이 위워크의 수익성 부진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에 대응하고자 하는 위워크의 움직임 또한 분주해졌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위워크는 파산경고를 받은 뒤 대부분의 임대 계약을 재협상해 비용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공유 경제의 상징과도 같던 위워크가 몰락하자 국내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켜졌다. 서비스별, 투자처별로 수익성 추이 차이는 있지만, 주시해야할 위험요인들이 없진 않다는 지적이다.
카셰어링 업체들은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 지난해 쏘카는 18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150억원가량 손실 폭이 증가했다. 2021년 16억원의 순이익을 냈던 그린카 또한 지난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