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주소(url)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48006635671568&mediaCodeNo=257&OutLnkChk=Y | ||
---|---|---|---|
출처 |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여성기업 300만 시대를 맞아 정부 지원이 확대되고 있지만 보다 세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여성기업 특화 프로그램을 통해 여성기업 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소벤처기업부의 ‘2022년 여성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여성기업 수는 약 295만개로 집계됐다. 전체 기업 730만개에서 여성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40.5%로 우리나라 기업 10곳 중 4곳이 여성기업이다.
여성기업과 종사자 수, 매출액 규모 등은 꾸준히 증가세다. 2017년 대비 2020년 여성기업 수는 18.9%, 종사자 수는 10.9% 늘었다. 매해 성장세인 추세를 감안하면 300만개 돌파가 이뤄졌을 것으로 점쳐진다.
김보례 여성경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여성 창업기업의 생존율이 떨어지는 건 일·가정 양립 어려움, 사회적 편견 등 사회적인 원인도 있다”며 “여성 창업자들 스스로 기업가 정신을 함양토록 노력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제도적으로는 여성의 기업활동 확대를 위해 일·생활 균형 지원 강화 및 여성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지원 및 사회적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48006635671568&mediaCodeNo=257&OutLnkChk=Y
출처 |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남기기